본문 바로가기
경제

에스코넥 주가 전망

by story2 2020. 10. 19.
반응형

정세균 국무총리가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차 수소경제위원회를 통해 수소연료전지 발전 전력을 의무적으로 구매하도록 하는 제도를 도입하겠다고 밝히면서 에스코넥 주가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정 총리는  “천연가스 개질용 수소 경제성 확보를 위해 새로운 수소제조용 천연가스 공급체계를 마련하고 원료비를 인하하겠다”며 “수소제조용 천연가스에 개별요금제를 도입하고 수입 부과금 등을 일정 기간동안 면제하는 방안을 검토해 향후 최대 43% 천연가스 가격이 인하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방안을 발표하면서,  “천연가스 개질용 수소 경제성 확보를 위해 새로운 수소제조용 천연가스 공급체계를 마련하고 원료비를 인하하겠다”며 “수소제조용 천연가스에 개별요금제를 도입하고 수입 부과금 등을 일정 기간동안 면제하는 방안을 검토해 향후 최대 43% 천연가스 가격이 인하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습니다.

에스코넥은 태양열에너지를 활용해 음식물과 축산·분뇨, 음·폐수 처리장, 쓰레기 매립장에서 발생하는 바이오메탄으로 수소와 카본을 생산하는 기술을 확보하고 있기에 수소 연료 전지 관련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에스코넥은 또한 이산화탄소와 메탄을 마이크로웨이브 플라즈마 기술을 활용해 수소와 일산화탄소로 전환하는 기술을 갖고 있습니다.

 

오늘은 에스코넥 주가 전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에스코넥 회사 개요

에스코넥은 2000년 창립 이래 국내외 금속가공부품 산업의 경쟁력 향상에 이바지하였습니다.

급변하는 시장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임직원 모두의 노력은 끊임없는 기술 개발과 품질 향상으로 이어지며 지속적인 성장 발전을 통해 고객만족 향상을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이제 에스코넥은 두번째 비상을 시작합니다.

오늘의 에스코넥이 있기까지 성장을 이끌어 온 금속부품가공 사업의 성공을 발판 삼아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여 지속가능한 미래의 삶에 기여하고자 새로운 분야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에스코넥은 세상의 본질을 더 깊이 들여다보고 혁신을 통해 한 걸음 더 나가고자 합니다. 

이에 리튬전지, 근거리 감시체계, 이산화탄소재활용 사업 등 미래의 수종 사업을 전개해 사업 다각화를 이루고 기업 경쟁력을 강화함으로써 가치 창조를 선도하는 기업으로 우뚝 설 것입니다.


에스코넥 주가

10월 15일 상한가로 급등한 이후, 2020년 2월의 고점 매물대에 부딪히면서 윗꼬리 달린 음봉을 기록한 에스코넥의 주가입니다. 일봉 캔들상으로는 좋지는 못하지만, 매물대를 소화하면서 가야 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에스코넥 주식

에스코넥의 시가총액은 1,697억원이고, EPS는 -187원으로 적자기업입니다.

 

250일 최고가는 2020년 10월 16일 기록한 2,995원이고, 250일 최저가는 2020년 3월 23일 기록한 981원으로 최저가 대비 현 주가는 165.04% 상승한 수치입니다.

 

10월 16일 거래량은 1억 83,462,864주를 기록하면서 4.00% 상승한 2,600원에 종가 마감하였습니다.

에스코넥 주주현황

에스코넥의 총 발행주식수는 65,265,724주이며, 이 중 유동비율은 70.86%입니다.

에스코넥의 주요 주주의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박순관 외 1인 12,639,469  19.37 
박순관 10,707,536 16.41
김치원 1,931,933 2.96
 한국증권금융 3,275,632  5.02 
 자사주 6,379,722  9.77

에스코넥 실적

2017년 기준 매출액 3,656억원, 영업이익 194억원, 당기순이익 141억원

2018년 기준 매출액 3,671억원, 영업이익 180억원, 당기순이익 147억원

2019년 기준 매출액 2,545억원, 영업이익 -147억원, 당기순이익 -122억원

2018년까지 안정적인 기업에서 2019년에 적자로 전환하더니, 올해도 적자 폭이 커져 가는군요.

에스코넥 주가 전망

올해 초 매물대도 있고, 2018년 3월에도 매물대가 있고, 우선은 종가 기준으로 3,000원을 올려 놓아야 원활한 흐름이 예상되는 에스코넥 주가 전망입니다.

 

친환경 에너지로 첫 테마에 합류한 것인데, 상한가 한번으로 끝날 것으로 보이지는 않고, 3,000원을 돌파는 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쉽게 돌파하지는 않을 듯 하고, 엄청나게 흔들어대면서 올라가지 않을까 싶네요.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석열 관련주 대장주  (0) 2020.10.20
kmh하이텍 주가 전망  (0) 2020.10.19
유니온머티리얼 주가 전망  (0) 2020.10.19
서한 주가 전망  (0) 2020.10.19
sk바이오사이언스 관련주 SK케미칼 주가 전망  (0) 2020.10.16

댓글